'2025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UWC 2025)'와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AME 2025)'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사진=김이재 기자 "이 정도면 사람이 할 일은 점점 줄겠네요" 11일 '2025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를 찾은 40대 관람객 A씨는 "로봇이나 AI의 활용도가 정말 높다"며 "기술 발전 속도를 보면 5년 뒤에는 국내 환경도 많이 달라져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2025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UWC 2025)'와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AME 2025)'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코엑스 3층 C홀에서 열렸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육·해·공 무인이동체와 자율주행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 이번 행사에서 국내 모빌리티 기술력의 현주소를 가늠할 수 있었다. ━ 미래 전장 '게임체인저'… 속도 내는 무인이동체 개발━ UWC 2025에서 KAI는 '미래비행체(AAV)'와 '소형 다기능 모듈화 비행체(CMMAV)'를 전시했다. /사진=김이재 기자 UWC 2025의 '기업관'에는 한국항공우주(KAI), LIG넥스원, 현대로템 등 주요 방산 기업이 참가해 자사 무인이동체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KAI는 '미래비행체(AAV)'와 '소형 다기능 모듈화 비행체(CMMAV)'를 전시했다. AAV는 민간과 군에서 모두 활용 가능한 차세대 항공 플랫폼이다. 전기 엔진으로 배터리를 충전한 뒤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며 부품 국산화율은 약 70% 수준이다. KAI 관계자는 "승객 4명과 파일럿 1명 등 총 5명이 탑승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무인 자율주행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상용화 시점은 2031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LIG넥스원은 KCD-40 하이브리드 수송드론과 다목적 무인헬기 등을 선보였다. 사진은 하이브리드 수송 드론의 모습. /사진=김이재 기자 LIG넥스원은 KCD-40 하이브리드 수 < 韓 자율운항선 미래가 이곳에 > 선박 자율운항을 구현하기 위해선 고성능 센서부터 인공지능(AI), 로봇까지 다양한 분야의 최첨단 기술이 필요하다. 임영섭 서울대 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장이 연구소에 마련된 대형 해양 시뮬레이션 장비에서 선박 자율운항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이솔 기자 “대형 컨테이너선이 태평양 한가운데서 사고가 나면 수조원대 소송에 걸립니다. 자율운항 선박을 개발하는 기준은 자율주행 차량을 제작하는 것보다 훨씬 까다롭습니다.”임영섭 서울대 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장은 사방이 뚫린 망망대해를 오가는 배에 자율운항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 같다는 세간의 인식에 반박하며 이같이 말했다.길이 400m가 넘는 2만4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한 척의 무게는 24만t을 훌쩍 넘는다. 크고 무거운 배 앞에 장애물이 나타나면 방향을 트는 것도, 급정지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타이태닉호가 전방 500m 앞의 빙산을 미리 발견하고도 37초 동안 직진하다가 미처 피하지 못하고 충돌해 침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임 소장은 “자율운항 선박을 개발하기 위해선 최소 수 킬로미터 앞의 장애물을 발견할 수 있는 고성능 레이더와 전방의 아주 작은 점으로 발견된 장애물을 판별할 수 있는 고성능 인공지능(AI) 에지 컴퓨팅, 선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고장 난 선박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 기술 등을 모두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자율운항, 고성능 센서·에지 AI가 핵심”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을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오토 파일럿으로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준이 1단계라면 선원이 비상시 개입·제어하는 단계가 2단계다.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비상시 원격으로 제어하는 수준은 3단계, 인간의 개입 없이 완전 자율운항하는 단계가 4단계다.자율운항 기술은 국내 조선업계의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 HD현대중공업은 2022년 6월 미국 남부 멕시코만 연안의 프리포트에서 출발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한 뒤 태평양을 횡단해 충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