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이
ⓒ데일리안 이번주 국내 증시는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과 기업들의 2분기 실적 성적표, 지속되는 신정부 정책 기대감 등에 영향을 받아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이에 증권업계는 이번주 코스피지수 밴드로 2950~3180선을 제시했다.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1.99포인트(1.99%) 내린 3054.28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6월 20일부터 11거래일 연속 3000선을 넘은 채 장을 닫고 있다.지난주(6월 30일~7월 4일) 코스피지수는 3032.47~3133.52포인트 사이에서 움직였다. 신정부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단기 급등한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차익실현이 나타나며 지수 상승이 제한됐다.국내 증권사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기간 연장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오는 8일(현지시간)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경계감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하고 있다.다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무역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국가 중심으로 유예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영국과 베트남과의 무역 협상 사례를 살펴보면 기본관세 10%를 기준으로 국가별로 상호 관세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협상이 진행되고 있어 다른 국가와의 협상도 유사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융시장은 이미 높은 관세에 대한 우려를 상당 부분 반영해온 만큼 관세율을 낮추며 협상이 마무리될 경우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일주일간 코스피지수 추이. ⓒ한국거래소 국내 대장주인 삼성전자가 오는 8일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시작으로 기업들의 2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되는 가운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의 기대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는 증권가 전망이 다수이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영업이익 6조4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3% 감소한 수준이다.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협상을 통해 보편관세 수준 내외로 세율이 결정[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올해 들어 지난 5월까지 서울에서 준공된 빌라는 1천800가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전세사기 사태에 따른 빌라 기피로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해온 빌라 시장이 무너지면서 아파트 쏠림 현상이 강해졌고, 이는 아파트 매매·전셋값 상승과 청년·서민층의 주거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6일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통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서울 내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준공은 1천813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2천945가구)보다 38.4% 감소했다. 전체 2천207만3천가구(2023년 기준)인 서울에 올해 들어 공급된 신축 빌라가 2천가구도 안 된다는 뜻이다.4년 전인 2021년 1∼5월(1만517가구)과 비교해 입주 물량은 6분의 1로 줄었다.서울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은 2020∼2023년 매년 2만2천∼2만5천가구씩 준공됐지만, 2023년 1만4천124가구, 작년엔 6천512가구로 급감했다.이는 아파트 준공 물량과 뚜렷하게 대비되는 실적이다.올해 1∼5월 서울 아파트 준공은 2만702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1만1천876가구)보다 74.5% 증가했다.정부는 비아파트 시장을 살리기 위해 작년과 올해 2년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빌라를 사들인 뒤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신축 매입임대' 11만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또 1주택자가 빌라를 사서 단기임대로 등록하면 1가구1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6년 단기임대 제도를 부활시켰다.이에 따라 빌라 인허가·착공이 늘고 있지만 정상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서울에서 향후 1∼2년 뒤 공급될 빌라 물량을 가늠할 수 있는 다가구·다세대·연립 인허가는 1∼5월 2천98가구로 작년 동기(1천263가구)보다 66.1%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 1∼5월(8천549가구) 수준에는 한참 못 미친다.경기대 교통공학과 김진유 교수의 분석 결과 최근 3년(2022∼2024년)간 연평균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이전 10년(2012∼2021년) 평균과 비교해 77.8% 감소했다.주택 공급이 부족해 집값이 오를 거라는 우려가 실
ⓒ데일리안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