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AI혁명 현장을 가다〈중〉 김경진 기자 중국 상하이 도심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외곽 지역 칭푸(青浦)구. 여의도 절반 크기(1.6㎢)로 조성된 한 호숫가 부지 위로 2량짜리 빨간색 트램이 승객들을 싣고 호수 주변을 오갔다. 축구장 225개 넓이에 배치된 다채로운 외관의 건물들 사이로는 보행로와 함께 잔디밭이 시원하게 펼쳐졌다. 겉보기에는 대학 캠퍼스나 미니 신도시를 떠올리게 하는 이곳은 실상 미·중 기술 패권 다툼의 최전선이자 2만4000명에 달하는 중국 최고 두뇌들이 모인 중국 반도체 기술의 심장부다. 우아한 건물은 고급 호텔에 들어선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뉴욕타임스(NYT)에 실린 “미래는 미국에 있지 않았다”는 칼럼으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곳, 화웨이의 ‘롄추후(練秋湖) 연구개발(R&D) 센터’다. 중국 상하이 칭푸(青浦)구에 위치한 화웨이의 ‘롄추후(練秋湖) 연구개발(R&D) 센터’. 축구장 225개 규모(1.6㎢) 부지에는 무선통신, 반도체, 클라우드 등 핵심 기술 연구단지가 들어섰다. 장진영 기자 2018년부터 본격화된 미·중 무역전쟁에도 화웨이는 살아남아 진화하고 있었다. 지난해에는 보란듯이 역대 둘째로 높은 175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스마트폰·전기차·인공지능(AI) 분야의 성장세를 놓치지 않고 뛰어들어 성과를 냈다. 미국의 전방위 제재에도 ‘자체 기술력 확보’에 집중한 덕분이다.지난달 30일 ‘평화 오디세이’가 찾은 롄추후 R&D 센터는 여전히 기술 굴기가 한창이었다. 센터 내 거리에는 ‘2025 플래그십 휴대폰 혁신대회’ 개최를 알리는 안내판이 눈길을 끌었다. 야근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안내 직원은 ‘9·9·6’(오전 9시 출근·오후 9시 퇴근·주 6일 근무)이 중국에선 보편적이라고 귀띔했다. 사무실에선 반팔과 반바지를 입은 직원들도 눈에 띄었다. 화웨이 관계자는 “평균연령이 31.6세로 젊지 6일 오전 광주 광산구 삼거동. 도로 한켠에 빨간 트랙터 10여 대가 줄지어 서있다. 차량마다 '의혹투성이 소각장 결사 반대', '주민 동의 없는 소각장 반대' 등이 적힌 현수막과 깃발이 걸려 있었다.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 "하늘이 두 쪽 나도 소각장 건립은 안 됩니다."6일 오전 광주 광산구 삼거동 한 도로변. 빨간색 트랙터 10여 대가 줄지어 서 있고, 차량마다 '주민 동의 없는 소각장 반대', '의혹투성이 소각장 결사반대' 등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도로 안쪽으로 들어서면, 낡은 컨테이너와 깃발 등 소각장 반대 단체의 구조물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이곳은 광주시가 추진 중인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건립 예정 부지 앞이다. 광주시는 2030년 시행 예정인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하루 650t 규모의 폐기물을 처리할 소각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1·2차 공모가 무산된 후 지난해 12월 3차 공모를 통해 삼거동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 하지만 해당 부지 인근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유해 물질 배출로 인한 농작물 피해와 광주 전역에서 몰려드는 쓰레기 수거 차량으로 인해 극심한 교통 혼잡과 소음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삼거동 주민 A씨는 "소각장 건립은 절대 안 된다는 주민들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트랙터를 동원했다"며 "안 그래도 인근 산단 차량에 쓰레기차 등이 뒤섞이면 교통 불편에 소음까지 이중고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여기에 '위장 전입'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갈등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공모 조건상 소각장 반경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의 과반 동의를 받아야 신청 자격이 주어지는데, 이를 채우기 위해 일부 세대가 실제로 거주하지 않으면서 주소지만 옮긴 '위장 전입' 사례가 30세대가량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주민 B씨(70대·여)는 "찬성한 사람도 있겠지만, 절대 다수가 반대한 사업인데 공모됐을리가 없다"며 "전입자들은 동·호수도 모르면서 주민이라고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