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를 위한 반대는 그만…의료개혁, 함께 논의해야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독립가 작성일25-06-21 03:46본문
<a href="https://massagereview.co.kr/include/category_view.php?code=category&category[]=9428" target="_blank" rel="noopener" title="아로마테라피" class="seo-link good-link">아로마테라피</a> 김 씨는 전공의와 의대생의 대정부 투쟁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수의료 패키지를 비롯한 의료개혁안, 진료지원(PA) 간호사 제도화 등에 대해서도 기존 전공의 단체 입장과는 다른 목소리를 냈다.
김 씨는 “건강보험 재정이나 의료체계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면 의료개혁 추진은 정부로선 피할 수 없는 과제였다. 다만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치지 않는 등 절차 측면에서 아쉬웠다”고 했다. PA 간호사 업무 확대에 대해서도 “교수, 전공의 등과 업무 분담을 명확히 해 현장 혼란을 막을 필요는 있다”면서도 “전공의의 과도한 업무를 나누는 등 긍정적인 역할도 있다”고 했다.
새 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공공의료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를 위한 반대는 안 된다”며 합리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씨는 “지방은 아직 공공의료를 통해 의료 사각지대를 줄일 필요가 있다”며 “공공의대 설립은 반발이 클 수 있지만 지역의사제 도입은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의사제는 의대생 일부를 지역에 일정 기간 근무하는 조건으로 선발하는 제도다..
김 씨는 “건강보험 재정이나 의료체계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면 의료개혁 추진은 정부로선 피할 수 없는 과제였다. 다만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치지 않는 등 절차 측면에서 아쉬웠다”고 했다. PA 간호사 업무 확대에 대해서도 “교수, 전공의 등과 업무 분담을 명확히 해 현장 혼란을 막을 필요는 있다”면서도 “전공의의 과도한 업무를 나누는 등 긍정적인 역할도 있다”고 했다.
새 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공공의료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를 위한 반대는 안 된다”며 합리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씨는 “지방은 아직 공공의료를 통해 의료 사각지대를 줄일 필요가 있다”며 “공공의대 설립은 반발이 클 수 있지만 지역의사제 도입은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의사제는 의대생 일부를 지역에 일정 기간 근무하는 조건으로 선발하는 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