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담

HUMAN DERMATOLOGY CLINIC

ONLINE
COUNSELLING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온라인으로 상담하세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드리겠습니다.

3) 눈 주위 같은 혈관이 밀집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7 00:13

본문

3) 눈 주위 같은 혈관이 밀집된 부위에 시술을 받았을 가능성부작용 낮음, 자연 소실(자세한 내용은 피부과 선생님들이 더 잘 아실거에요 ^^ 오늘은 간단하게만 살펴보도록 할게요. 그리고 뇌피셜 내용도 있으니 참고해서 봐주세요. 왜냐하면 이번 시술을 듣기만 했지 보지는 못했으니까요 ㅠㅠ!! )a. 콜라겐 1,3형 생성 유도b.type 3 먼저 생성되며 시간이 지나며 1형으로 전환.① 일반적으로 분지 망막 동맥 폐색은 흔하지 않은 드문 질환이다.오늘의 정리는 이것으로 끝 !2) 주입된 volume이 과다해 주변 혈관을 압박해 혈류를 차단했을 가능성3. 그렇다면, 왜 이전에는필러만 실명을 일으킨다고 생각하고, 쥬베룩 볼륨은 괜찮다고 생각한 것일까? 그리고 왜 이러한 시술이 실명을 일으키는 것일까?Cross-linkedHyaluronic Acida. 주로콜라겐 1형 생성유도5) 쥬베룩 볼륨 이외에 필러도 같이 포함되어 있는 주사를 맞았을 가능성: 스컬트라도 볼륨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데 필러와는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이점은 아래 표를 살펴보자.자연 분해 (HA, PDLLA 모두)(일부 3형도 유도)효과 발현 시점항목② 캐뉼라의 경우, 끝이 뭉툭하기 때문에 혈관 손상시킬 가능성이 떨어지고, 그만큼 혈관내로 내용물이 들어갈 확률이 적어진다.→D형과 L형 젖산이 혼합된 합성물로,분해 속도가 PLLA보다 빠르고 자극이 덜함.2)BRAO =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이라고 불리는 '분지 망막 동맥 폐색'은통증 없이, 갑작스럽게, 한쪽 시력을 상실하는 것을 의미한다.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중심 망막 동맥을 폐쇄 시킬 수도 있음)→ 가교된 고분자 히알루론산 단독 vs 저분자 히알루론산으로4. 그렇다면쥬베룩 볼륨은 실명 부작용이 높아진 것이라고 볼 수있을까?: 위에서도 보았듯이,쥬베룩 볼륨의 입자 사이즈도 50micro 정도 밖에 안되는데, 일반적으로 central artery는 직경이 160~micometer 정도, branch 크기는 15~150 정도 되기 때문이다. 설마 저 작은 사이즈로 망막 동맥을 막을까 싶었고, 의사 친구의 말로는 쥬베룩볼륨으로 실명케이스가 전세계 1케이스 밖에 없다고 했기 때문에, 다들쥬베룩 볼륨은 실명의 위험성이 없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뇌졸중이 뇌의 혈관을 막아 생기는 질환인 것처럼, 눈 동맥을 무엇인가가 막아서 (대게 피떡), 실명이 되는 것이다.있음 (자연스러운 자극)오늘은쥬베룩볼륨, 스컬트라, 필러의 효과의 차이점, 부작용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왜 이러한 시술 때문에 실명이라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생겼을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나도 좀더 나이가 들면 꺼진 얼굴의 볼륨을 채우기 위해 스컬트라나 쥬베룩 볼륨을 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괜스레 걱정이 된다.다만 주의해야 할 것은시술자에 따라서, 그리고 시술하는 방식에 따라서, 실명 부작용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으니쥬베룩 볼륨 (Juvelook Volume)없음 (일시적 볼륨만 제공)1) 필러든, 쥬베룩볼륨이든 스컬트라든 좀 깊이 있게 약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 시술을주사(needle)로 하는지 캐뉼라(cannula)로 하는지확인해야 좋을 듯 싶다.(*Huertas-Aguilar et al.,Dermatol Surg, 2016)지속 기간최근, 의사 친구들에게서 공유 받은'쥬베룩 볼륨' 실명 사건..② 일반적으로 혈관 내 혈전이 생기는 원인으로 발생하는데,Type I 콜라겐<결론>히알루로니다제로PDLLA(Poly-D,L-lactic acid) +비가교히알루론산입자 크기만 보면 스컬트라 > 쥬베룩볼륨- PDLLA가 섬유아세포 자극 → 콜라겐 생성콜라겐 생성 여부< 주사 vs 캐뉼라 시술 >4~6주 후부터 점진적 볼륨증가⇒ 하지만 주사의 경우 끝이 뾰족하기 때문에 혈관을 찌를 위험성이 더 높아 이런 입자가 있는 제품들 시술을 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혈관 안으로 들어갈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히알루론산 필러 (HA Filler)→ 입자가 크고불규칙해서 조직 내에서 염증을 유도하고 섬유화 효과가 더 있다.: 아마 입자의 크기가 크면 더 막힐 가능성이 높기는 할 것이다. 필러가 다른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실명 케이스 부작용이 더 많은 것처럼.- 수분 결합 → 즉각 볼륨1) 시술 중 입자가 혈관 내로 주입되어 망막 동맥을 막았을 가능성결절, 피막화 가능성 ↑ : 그래서 스컬트라가 간혹 결절이 생기는 게 바로 이 문제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케이스에서는 혹시 쥬베룩볼륨만 들어간게 아니라 다른 필러도 같이 주입한 것은 아닐까 하는 뇌피셜도 나오기는 하는데.. 알수는 없다기능Type III 콜라겐※ 콜라겐 1형 : 피부 주 구조물. 강한 인장력과 탄탄한 피부, 콜라겐 3형은 초기 상처 회복시 생성되며 유연하고, 섬세한 조직 구조 형성함.쥬베룩볼륨, 스컬트라는 모두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는- 공간 충전분해 경로있음 (강한 자극, 장기 볼륨 형성)1) 필러를 맞고 생기는 실명은 결국,눈을 지배하는 혈관 내로 작은 필러 particle이 들어가면서 혈관을 막아 생기게 되는 부작용이다. 내 생각은 아니다. 아마 실명의 위험성은 예전만큼 거의 0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안심할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위험성은 계속 낮을 것이다.자연 분해 (PLLA), 분해 기간 길고 피막 가능성 있음.→ 강하게 가교 vs 비가교/ 약한 가교※필러는 농도가 높게 주입되면 공간을 채우면서 주변 혈관을 압박할 수 있으나 쥬베룩 볼륨은 HA 이 빠르게 흡수되면서 PLA 콜라겐 유도를 도와주는 역할을 함. 히알루론산이 들어가 있어도 다르다~ 흠.. (혹시 내용이 좀 다르면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PLLA가 조직 자극 → 면역세포 반응 유도 → 섬유아세포 활성화 → 콜라겐 생성나노~수 μm (제품별 상이)(나도 필러 맞는 건 무서움 ㅠㅠ)※ 즉 필러의 히알루론산은 탄성, 점성, 안정성 높아 볼륨을 채우고 윤곽을 확실히 만들어 유지. 쥬베룩의 히알루론산은 PLLA 입자를 분산시키고 섬유화 결절 위험을 줄임.결결한 피부결 개선, 잔주름 개선필러의 히알루론산 vs 쥬베룩볼륨의 히알루론산의 차이→ L형만 존재하여더 천천히 분해되며, 이로 인해콜라겐 생성 기간이 길고 자극 가능성은 더 큼.(우리의 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