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전경. 뉴시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폭탄’…돈 벌려면 ‘이 곳’ 주목!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한달이 지난 가운데, 강남권 아파트 거래량 자체는 줄었지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24일 한국부동산원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0.08% 상승으로 전주와 동일했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서초구(0.18%)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송파구(0.18%)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남구(0.13%)는 압구정·대치동 재건축 추진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가격 상승세는 이어졌지만 거래량은 큰 폭으로 줄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보면 강남3구와 용산구 아파트 매매는 3월 2075건에서 이달 34건으로 98% 넘게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강남구는 3월 779건에서 이달 12건으로, 송파구는 770건에서 18건, 용산구는 249건에서 4건으로 쪼그라들었다. 서초구는 지난달 277건의 거래가 발생했지만 이달은 거래 신고가 전무한 상황이다. 거래량은 줄었지만 재건축 유망단지가 모여있는 강남구 압구정동에서는 최고가 거래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자치구 단위로 토허제가 시행된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24일까지 압구정동 아파트 매매 10건 중 8건이 매매가 50억 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전용 171㎡(8층)는 지난 3일 90억2000만 원에 거래됐다. 직전 거래인 지난해 11월(73억 원)과 비교해 17억원 이상 오른 것이다. 압구정현대 1·2차 전용 172㎡(15층)도 한달 새 7억원 오른 80억 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인근 한양1차 전용 78㎡(9층)도 지난 12일 60억 원에 매매됐다. 직전 거래(47억5000만 원)보다 12억5000만 원 오른 가격이다. 이처럼 집값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가치 상승 기대감에 따른 수요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정부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재지정하면서 전월세를 끼고 매매하는 ‘갭투자’가 불가능해졌지만, 압구정동의 경SBS '신들린 연애 2' 시즌1 보다 낮은 시청률과 화제성 '무속인 연애 리얼리티' 소재 외 차별점 보여줄 수 있나[미디어오늘 정민경 기자] ▲SBS '신들린 연애 시즌2' 예고편 갈무리. 연애 리얼리티 예능의 홍수 속에서 무속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SBS '신들린 연애' 시즌2가 오는 29일 최종화를 앞둔 가운데, 시즌1보다 낮은 관심 속 차별성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운명'을 따라야 하는 무속인을 연애 리얼리티에 출연시키면서 '본능'에 따르라는 듯한 연출이 지속되면서 일반인 연애 리얼리티와 어떤 차별성을 가지냐는 것이다.SBS '신들린 연애'는 다른 사람의 연애운을 맞추던 점술가들이 자신에게 맞는 인연을 찾아가는 무속인의 연애 리얼리티로, 지상파에서 무속인의 사랑을 다룬다는 설정 때문에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지난 2월25일부터 시작된 '신들린 연애 2'는 현재 시즌1에 비해 시청률과 화제성이 다소 낮게 유지되고 있다. '신들린 연애 1'의 경우 지난해 6월 시작돼 1.6%의 시청률로 시작, 6화 2.2%(닐슨 코리아, 유료 가구 기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신들린 연애 2'의 경우 1화 1.5% 이후 줄곧 비슷한 흐름 속에 8화 1.3%를 기록했다.지난 24일 공개된 제410차 SBS 시청자위원회(3월26일 회의) 회의록에서 정민석 시청자 위원(청소년성소수자지원센터 띵똥 이사장)은 '신들린 연애 2'에 대해 “일반인 남녀가 등장하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이미 많은 상황에서 출연자의 직업 이외 어떤 차이를 보여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신형덕 시청자위원(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은 “이 프로 초기에 제기되었던 샤머니즘을 조장하거나 신비주의를 강조하는 내용은 배제되고, 전통적 '커플 맺기'의 성격과 다른 '소재 발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적절한 편집이 이루어져 긍정적 관심을 받았다”면서도 “이 프로그램은 혼란스러운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SBS '신들린 연애 시즌2' 화면 중 갈무리. 신 위원은 “다른 사람의 운명에 대해서는 확증적으로 선언해야 하는 무속인이 본인의 운명은 자의적으로 개척할 수 있다고 한다면 이는 기획 초기에 제기되었던 샤머니즘 조장의 우려와는 정반대로 무속 직업에 대한 무시로 간주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독특한 콘셉트만으로도 호기심을 자극했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