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실 관저를 떠나는 윤석열 전 대통령./사진=박상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파면된 지 일주일 만에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났다. 윤 전 대통령은 관저를 걸어 나와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Yoon Again!"(윤 어게인)을 외치며 배웅했다.11일 오후 4시 서울 한남동 관저 앞.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예고 시각 한 시간 전부터 주변 도로는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들은 저마다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거나 'KING석열 IS BACK' 이 적힌 티셔츠 등을 입고 윤 전 대통령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렸다.관저 정문 앞엔 윤 전 대통령과 직접 인사를 나누기 위한 지지자들이 펜스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줄을 지어 서 있었다. 경찰과 대통령실 경호처 직원들은 지지자들의 신분 확인과 신체 검문을 한 뒤 약 200명을 관저 앞 펜스 안으로 들여보냈다.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집회 측은 이들에게 '윤 어게인'이라 적힌 팻말을 나눠줬다.윤상현 국민의힘 의원과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도 이날 오후 관저 앞을 찾았다. 관저에 들어갔다 나온 윤 의원은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에 "윤 전 대통령과 인사만 하고 나왔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에서 나와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4.1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윤 전 대통령이 퇴거를 예고한 오후5시가 다가오자 지지자들은 "윤 어게인. 윤석열 대통령. 우리가 지킨다"는 구호를 계속 외치며 윤 전 대통령을 기다렸다. 다른 쪽에선 "탄핵 무효, 사기 탄핵"이라는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오후5시9분. 관저 정문이 열리고 윤 전 대통령이 걸어 내려오는 모습이 보이자 지지자들은 함성을 질렀다. 이들은 연신 "윤석열"을 연호하며 들고 있던 태극기와 피켓을 흔 코스피가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 격화에 전날 상승분을 반납하며 2400선에서 하락 출발한 11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달 31일 공매도 제도 재개 이후 포스코퓨처엠(003670)·두산퓨얼셀(336260)·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 일부 종목에 공매도 세력의 베팅이 집중되며 주가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공매도 잔액이 집중된 종목들에서 실제 주가 하락이 동반되는 모습을 보였는데 잔액 비중이 오히려 더 높아지면서 추가 하락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순보유 잔액 비중이 가장 높은 종목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8일까지 7거래일 연속 포스코퓨처엠·두산퓨얼셀·롯데관광개발(032350)·SKC(011790)가 1~4위를 차지했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지난달 31일 공매도 순보유 잔액 비중이 2.84%를 기록했는데 이달 8일 기준 3.08%로 올랐다. 같은 기간 두산퓨얼셀 역시 2.78%에서 2.81%로, SKC도 1.92%에서 2.12%로 증가했다. 8일 기준 순보유 잔액 금액 기준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6334억 원), 셀트리온(3463억 원), 포스코퓨처엠(2823억 원) 순이었다. 이들 종목도 8거래일 연속 금액 기준 상위권을 차지했다. 주로 2차전지 업종에 집중된 것이다. 공매도 세력은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미국에 편중된 수익 구조, 두산퓨얼셀은 누적된 적자가 주가에 단기적으로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본 것으로 풀이된다.공매도 순보유 잔액은 공매도를 실행한 주식 중 아직 되사서 갚지 않은 잔여 물량을 의미한다. 공매도를 하면 주식을 되사서 갚아야 하지만 주식을 다시 매수하기 전까지는 매도세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아직 끝나지 않은 매도 압력으로 읽히기도 한다. 특히 이들 종목이 7거래일 연속 순보유 잔액 비중 상위권에 포진했다는 것은 주가가 하락한다고 보는 공매도 세력의 시각이 뚜렷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8일까지 포스코퓨처엠은 주가가 7.86%, 두산퓨얼셀은 10.54% 추락했으며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과 셀트리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