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부 저장성의 한 의류 제조업체는 최근 미국 바이어로부터 이달 예정된 선적을 일시 보류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미국과 중국이 비이성적 관세 폭탄을 주고받으면서 당장 최종 가격을 정확히 산출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 업체는 앞으로 현실화할 주문 급감에 대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에 전했다. 미국과 중국 양국의 공방이 멈춘다 해도 이전보다 관세는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이를 상쇄할 만큼의 할인을 제공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중국 수출을 떠받쳐온 중소 제조업 공장들이 하나둘씩 멈춰 서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만 총 145%의 관세를 물리면서, 미국 고객들의 발주 취소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2018년 첫 번째 미중 무역전쟁을 피해 베트남으로 이주한 중국 공장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벼랑 끝에 몰린 중국 공장들이 결국 대규모 구조조정 국면에 접어들지, 내수 공략과 해외 시장 판로 개척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국 장쑤성의 한 모자 공장./AFP 연합뉴스 12일 블룸버그와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중소 공장 중 일부는 이미 일시 가동 중단에 돌입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공방이 격화한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는 중국산 수입품에 현재까지 총 145%의 관세를 추가 부과한 상태다.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반발해 같은 수준으로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물리는 등 서로 맞대응에 나선 결과다. 여기에 트럼프는 중국·홍콩에서 들어오는 800달러(약 120만원) 이하 상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해 주던 ‘소액 면세 제도’도 폐지했다.NYT는 저가 상품을 집중적으로 생산해 중국 수출 전선을 떠받쳐온 남부 광저우 소규모 공장 일대를 집중 조명했다. 특히 미국 아마존에 주로 납품해 온 의류 공장 사례를 전했는데, 이곳은 이미 주문량 감소를 겪고 있다. 공장 관리자는 “미국 관세가 너무 높으면 우리는 (공급을) 할 수가 없다”고 했다. NYT는 “최근 의류 주문 취소는 광저우의 소규모 공장에 특히 큰 타격을 줬다”며 “미국 수입 업체들은 의류 가격의 절반만 선불로 지불하고 언론재단, AI 플랫폼과 언론사 제휴 동향 분석 간행물 발행…"국내 언론사, 선제적으로 뉴스 데이터 적정 가치 산정해야"[미디어오늘 노지민 기자] ▲챗GPT를 이용해 생성한 이미지 AP통신을 시작으로 해외 미디어 기업과 오픈AI와 같은 거대언어모델(LLM·Large Language Model) 개발사의 제휴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뉴스 무단 사용을 둘러싼 법적 공방 또한 치열하다. AI와 언론이 '이중적 관계'에 놓인 지금, 국내 언론사들이 선제적으로 뉴스 데이터의 적정 가치를 산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한국언론진흥재단은 9일 '2025 해외 미디어 동향 제1호-AI 플랫폼과 언론사의 제휴 동향'을 발간했다. 연합뉴스 데이터·AI전략팀을 지낸 김태균 기자가 작성을 맡았다.지난 2023년 7월 오픈AI는 세계 주요 언론사와는 처음으로 오픈AI와의 데이터 사용권 계약을 발표했다. 오픈AI는 1985년까지의 과거 기사 아카이브 사용권을, AP통신은 일회성 금전 대가와 AI 기술 사용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AP통신은 오픈AI 기술 지원으로 장문의 기사를 짧게 요약하는 기술과 다국어 고객 채팅 서비스 등 연구를 추진 중이라 밝혔다. 이후 대형 미디어 그룹 중심으로 LLM 개발사와 해외 언론 계약 소식이 이어졌다.이어진 계약에선 각 언론사가 자사 기사 노출을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제한했다. 2023년 12월 오픈AI와 계약한 유럽 언론 그룹 악셀 슈프링어는 산하 매체 기사를 LLM 훈련용 데이터로 제공하되, 챗GPT는 기사의 짧은 요약이나 링크만 보여주고 원 기사는 뉴스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게 했다. 2024년 4월 역시 오픈AI와 계약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챗GPT가 자사 기사의 요약, 일부 인용문, 링크만 쓸 수 있게 했다.그해 5월 '닷대시 메레디스'(DDM), 뉴스코프, 복스 미디어, 디 애틀란틱 등과 오픈AI의 라이선스 협약이 이어졌다. 5년간 2억5000만 달러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고 알려진 뉴스코프는, 최신 기사는 출고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챗GPT에 노출되도록 했다고 한다. 이 밖에 구글 '제미나이'가 AP통신의 최신 기사 검색 결과를 노출할 권리를 얻은 계약이 올해 1월 발표됐다. ▲자료=한국언론진흥재단 '2025 해외 미디어 동향-AI 플랫폼과 언론사의 제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