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담

HUMAN DERMATOLOGY CLINIC

ONLINE
COUNSELLING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온라인으로 상담하세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지난해 매일 17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9 00:36

본문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지난해 매일 17명이 장례를 치를 가족 없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경제 사정 때문에 가족이나 친지의 장례를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저소득층이 이용할 수 있는 공설장례식장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변화하는 가족형태에 맞게 장례 환경과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 자원봉사자가 지난 12일 경기 고양시 서울시립승화원에서 진행된 무연고 사망자 장례식에서 헌화하고 있다. (사진=이영민 기자) 함께하는 장례서 개인의 몫으로…“무연고 사망 남 일 같지 않아”지난 12일 경기 고양시 서울시립승화원의 ‘그리다빈소’에는 위폐 2개와 빈 영정 액자가 놓여 있었다. 이날 빈소에서는 지난 3월과 4월 세상을 등진 무연고 사망자 2명의 합동 공영장례식이 열렸다. 연고자가 시신인수를 거부해 이곳에 온 이들이었다. 2평 남짓한 공간에는 장례지도사와 자원봉사자까지 총 7명이 있었다. 봉사자들은 10여 분 동안 추도문을 읽고 술과 음식, 큰절을 올렸다. 공영장례식에 참여한 봉사자들은 무연고 사망이 남의 일 같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1년 넘게 매주 공영장례 봉사에 참여한 이모(32)씨는 “1인 가구가 점점 증가하는데 무연고 사망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사회 상황인 것 같다”며 “주변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공영장례가 감사한 데 다른 사람의 일이라고 생각하니까 인식이 안 좋은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씨와 이날 장례식에 동참한 소지(37) 목사는 “친구끼리 장례를 치르고 싶어서 생일이 빠른 친구가 다른 친구를 입양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예로부터 한국의 전통 장례식은 마을 잔치였는데 근대화되면서 점점 개인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무연고 사망자는 연고자가 없거나 알 수 없을 때, 연고자가 시신 인수를 거부할 때 발생한다. 서울시는 2018년 공영장례 조례를 제정해 전국 최초로 무연고 사망자와 저소득층을 위한 공영장례 제도를 도입했다.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하면 장례 의식 없이 매장이나 화장을 거쳐 봉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하루 17명’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국내 증시의 ‘밸류업’을 실현하기 위해선 단순한 주가 부양책이나 세제 인센티브를 넘어서는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기업가치 제고만으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 해소에 한계가 있는 만큼 주주 보호 강화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18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고은정 연구교수가 발표한 ‘기업 지배구조 강화를 위한 소수주주권 인식 조사’에 따르면 소수주주 1719명을 대상(답변 포기자 포함)으로 현행 상법·자본시장법이 소수주주권을 보호하고 있는지 물은 결과 ‘매우 아니다’라는 응답이 70.87%(803명)에 달했다. ‘아니다’라는 대답도 19.15%(217명)에 이르렀다. 이는 국내 증시에서 소수주주가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제도적으로 주주 가치 보호가 되지 않는 실상은 국내 증시 투자의 최대 걸림돌로 지적된다. 상법·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를 명시하고 이사회 독립성과 투명성 제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 역시 이 때문이다. 현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법 개정안은 소수 주주 권익 보호를 목표로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감사위원 분리 선출 △전자주주총회 개최 의무화 등이 담길 예정이다. 이를 통해 소수 주주의 의결권 행사율을 높이고, 기업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기업거버넌스의 바이블 격인 ‘주요 20개국(G20)·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업거버넌스 원칙’에 따르면 좋은 거버넌스는 주주 권리가 제대로 행사되고 일반 주주 등 모든 주주가 공평하게 대우받는 것”이라며 “상법 개정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첫 단추를 끼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 증시의 밸류업이 이뤄지려면 기업 지배구조의 근본적인 개혁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국내 증시가 주주 이익 극대화보다는 재벌 총수 일가의 이익 보호에 초점을 맞추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밸류업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밸류업 정책의 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