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담

HUMAN DERMATOLOGY CLINIC

ONLINE
COUNSELLING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온라인으로 상담하세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드리겠습니다.

9일 서울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6-10 09:25

본문

9일 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협약 개정 철회 및 소각장 추가설치 반대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예솔 기자 “소각하면 연기가 아파트 쪽으로 넘어와요. 공기청정기가 갑자기 ‘윙’ 하면서 빨간불이 들어와요. 이런 환경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15년째 마포구에 거주 중인 김순희(70·여)씨는 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피해를 설명하며 “이미 쓰고 있는 소각장인데 또 짓는다는 건 너무한 일”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낮 최고 기온이 33도까지 오른 9일 오후 2시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협약 개정 철회 및 소각장 추가설치 반대 기자회견’이 열렸다. 땡볕이 내리쬐는 현장에는 구 관계자와 마포구민 수십 명이 자리를 지켰다.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서울시는 절차적 정당성을 무시하며 마포구와 마포구민을 배제한 채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 변경 협약’을 체결했다”며 “이는 지난 세월 서울시를 위해 고통과 희생을 감내해 왔던 마포구민들에게 또다시 깊은 충격과 상처를 준 것”이라고 비판했다.이어 “서울시는 마포구민도 서울 시민이라고 하지만, 정작 모든 부담은 마포에만 전가하고 있다”며 “구민의 생명과 건강, 그리고 행복추구권 앞에 행정적 타협은 없다. 서울시의 불통 행정에 맞서 모든 법적 대응 수단을 강구하겠다. 신규 소각장 설치와 기존 시설 연장 모두 단호히 거부하겠다”고 재차 경고했다.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종로, 용산, 서대문, 중구 등 4개 자치구와 협약을 맺고, 기존 ‘시설 사용 개시일로부터 20년’이었던 공동이용 기한을 ‘시설 폐쇄 시까지’로 연장했다. 마포구는 협의에서 제외됐다. 시는 해당 시설이 광역시설로 서울시 소유이며, 운영 주체는 시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마포구는 해당 협약에 절차적 정당성이 없었다며, 핵심 당사자인 마포를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추진됐다고 반발하고 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9일 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협약 개정 철회 및 소각장 추가설치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예솔 기자 아이를 지난 5일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등을 수사하는 특검법이 국회 문턱을 넘었다. 뉴스1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의혹을 정조준한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을 규명하기 위한 서울고검 수사는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4월 재기수사 결정 이후 46일이 지났지만 의혹의 핵심 인물인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이나 김 여사 조사에 이르지 못하는 등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9일 “(김 여사에 대한) 수사는 절차에 따라 계속된다”고 말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수사 대상으로 삼고 있는 ‘김건희 국정 농단 및 불법 선거개입 특검법’이 조만간 공포될 예정이지만 특검 출범 전까진 예정된 수사를 이어가겠단 의미다. 서울고검 수사팀은 그간 주가조작 관련자들을 불러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주력했다. 주가조작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모씨(지난달 21일), 블랙펄인베스트먼트 전 임원 민모씨(지난달 27일), 주가조작 2차 작전 시기(2010년 10월~2012년 12월)의 ‘주포(주가조작 설계자)’ 김모씨(지난달 28일)를 잇따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그러나 “김 여사가 1차 시기엔 주가조작을 알았을 수 있다”(김모씨) 등 추측성 발언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검찰은 권 전 회장에 대한 조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이른바 ‘7초 매매’에서 김 여사가 권 전 회장으로부터 어떤 식으로든 연락받고 증권사 직원을 통해 주문 제출했다고 추정했다. 다만 증거 부족을 이유로 김 여사를 무혐의 처분했다. 이에 서울고검 재수사팀은 권 전 회장 측에 조사를 위해 출석 의사를 타진했지만 일정을 잡진 못했다고 한다. 권 전 회장 측은 그간 재판에서 견지해온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하거나 주식 거래를 대리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 전 회장은 지난 4월 3일 대법원에서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징역 3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