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담

HUMAN DERMATOLOGY CLINIC

ONLINE
COUNSELLING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온라인으로 상담하세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광주·화순=연합뉴스) 박철홍 천정인 기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18 10:55

본문

(광주·화순=연합뉴스) 박철홍 천정인 기자 = 전남 화순군에 위치한 동복(호)댐 규제 완화를 둘러싸고 광주·전남 간 갈등이 재현될 조짐을 보인다.전남도와 화순군이 광주시민 등의 식수원인 동복댐 명승지인 적벽 지역 관광객 편의시설 구축을 위해 규제 완화를 환경부에 건의한 데 대해 광주시가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김완섭 장관, 동복수원지 보호구역 현장 점검 (서울=연합뉴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15일 전남 화순군 동복수원지 보호구역 인근 적벽 정비사업 현장에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2025.4.15 [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동복댐에 편의시설과 수문 설치" 찬반이번 갈등은 지난 15일 화순 동복댐 상수원보호구역에 위치한 명승지 적벽을 방문한 환경부 장관에게 김영록 전남지사와 구복규 화순군수가 보호구역 내 규제 완화를 건의하며 불거졌다.전남도와 화순군은 "화순 적벽을 관광화하기 위한 전시 시설을 설치하면서 최소한의 관광객 휴게시설(카페)이 필요한데, 현재는 규제에 묶여 추진이 불가능하다"며 "상수원 보호구역 및 수변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규제 완화를 검토해 달라"고 건의했다.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자 광주시의회는 즉각 반발했다.광주시의원들은 "150만 광주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공공 식수원의 본질적 가치가 달린 생존권 문제로, 상수원보호구역은 지역 개발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동복댐 수문 설치도 잠재적인 갈등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1985년 건설된 동복댐은 수문이 없이 월류 방식으로만 운영돼 집중호우 시 수위 조절이 불가능하다.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동복댐 주변 주민들의 홍수 피해 우려가 커지자 전남도는 광주시에 계속 수문 설치를 건의했지만, 광주시는 예산상의 이유 등으로 대응하지 않았다.이에 류기준 전남도의원은 "광주시가 방류 결정을 담당하고 있지만, 실제 피해는 화순군이 감당하는 구조다"며 수문 설치를 광주시에 촉구했다. 화순 적벽 [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무상 복지 받는 것보다, 이렇게 몸 움직이고 사람들 만나니까 삶에 활기가 훨씬 더 생겨요. 재밌고, 보람있어요" 17일 오후 2시, 여기는 대구 수성구에 위치한 할로마켓 1호점에 들렀다. 할로마켓은 전국 첫 세대통합 카페이다. 할로마켓에서는 음료를 만들고 손님을 맞이에 시니어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당시 점심 파트를 맡은 시니어 세 분은 아침 담당 시니어들이 구워낸 베이커리와 수성구의 대표 캐릭터 뚜비 포토존, 그리고 시니어들이 직접 만든 굿즈들로 꾸며진 공간에서 활동 중이었다. 이 전국 최초 세대통합형 카페 '할로마켓'은 지난 2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수성구청이 구(舊) 범어3동 치안센터를 리모델링하여 오픈했다. 할로마켓 1호점 대구 지역의 어르신들과 청년들이 격의없이 함께 일하며 운영하고 있다. 60~70대 어르신 30명은 아침, 점심, 저녁 시간대에 3인 1조로 나뉘어 커피 제조와 빵 굽기를 맡고, 대학생들은 SNS 마케팅과 홍보를 맡고 있다. 이곳은 수성구청, SPC그룹, 수성시니어클럽 등이 협력해서 만들었다. 시니어 근무자 김현주 씨는 "국가에서 시니어에게 여러 복지를 제공하지만, 할로마켓은 직접 일을 하여 수익을 얻는 시스템이라 더 바람직한 방향인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김현주 어르신은 "청년들과 협업하는 과정에서 스펙트럼이 넓어져 사는게 즐겁다"고 덧붙였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강수연 프로는 "생명보험재단이 국내 최초로 민관 협력을 통해 노인과 청년을 잇는 할로마켓 1호점을 대구 수성구 범어3동에 열었다"며 "오픈 후 수성구 내 시니어층이 활발한 사회활동을 통해 자기 효능감과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감을 회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프로는 "고령화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해결해야 할 노년층 고립 문제를 일부 해소하는 동시에 시니어들의 경제활동을 활성화해 사회경제적 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