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시에 따르면 부산에는 부산진구, 사상구, 해운대구, 동래구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오늘은 작성일25-07-03 10:56본문
<a href="https://zzangbook.co.kr/" target="_blank" rel="noopener" title="이혼변호사비용" class="seo-link good-link">이혼변호사비용</a> 4곳에 이동노동자 쉼터가 있다. 부산진구에는 부전동 서면 상상마당 인근 건물에, 사상구에는 부산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 주변에, 해운대구에는 중동 해운대구청사 부근에 있다. 동래구엔 컨테이너형 간이 쉼터가 온천동 내성중학교 맞은편 하천 부지에 들어섰다.
이 공간은 이동노동자가 등록 후 지문·전화번호 인증 등으로 자유롭게 출입하며 준비된 음료 등을 마시며 쉴 수 있다. 동래구 쉼터를 제외한 3곳에선 안마의자, 컴퓨터도 사용할 수 있다.
시는 연간 8억 원을 투입해 쉼터 4곳을 운영한다. 2019년 부산진구에 거점 센터가 처음 문을 열었고 2022년에는 사상구, 해운대구에서도 쉼터가 개소했다. 지난해 10월 문을 연 동래구의 간이 쉼터는 고용노동부의 노동약자 일터 개선사업을 통해 설치비 5550만 원 가운데 50%를 지원받았다.
마땅히 쉴 곳이 없는 대리기사, 배달라이더 등이 주 이용객이지만 부산의 쉼터는 다른 지역보다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동노동자 쉼터는 경기도 32곳, 서울 19곳, 경남 7곳, 충남·울산 5곳 등 전국에 127개소가 있다. 하지만 부산에는 4곳밖에 없고 향후 확장 계획도 뚜렷하지 않다..
이 공간은 이동노동자가 등록 후 지문·전화번호 인증 등으로 자유롭게 출입하며 준비된 음료 등을 마시며 쉴 수 있다. 동래구 쉼터를 제외한 3곳에선 안마의자, 컴퓨터도 사용할 수 있다.
시는 연간 8억 원을 투입해 쉼터 4곳을 운영한다. 2019년 부산진구에 거점 센터가 처음 문을 열었고 2022년에는 사상구, 해운대구에서도 쉼터가 개소했다. 지난해 10월 문을 연 동래구의 간이 쉼터는 고용노동부의 노동약자 일터 개선사업을 통해 설치비 5550만 원 가운데 50%를 지원받았다.
마땅히 쉴 곳이 없는 대리기사, 배달라이더 등이 주 이용객이지만 부산의 쉼터는 다른 지역보다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동노동자 쉼터는 경기도 32곳, 서울 19곳, 경남 7곳, 충남·울산 5곳 등 전국에 127개소가 있다. 하지만 부산에는 4곳밖에 없고 향후 확장 계획도 뚜렷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