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ht43oso 작성일25-06-06 05:27본문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저출산으로 외국인 이주민 유입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연령대가 낮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다문화수용성은 9년 만에 상승한 반면, 청소년은 하락했다. ⓒ여성가족부 저출산으로 외국인 이주민 유입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연령대가 낮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다문화수용성은 9년 만에 상승한 반면, 청소년은 하락했다.5일 여성가족부는 청소년과 성인 총 1만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조사 결과, 2024년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점수는 53.38점으로 직전 조사였던 2021년(52.27점)보다 1.11점 상승한 반면, 청소년은 69.77점으로 2021년(71.39점)보다 1.62점 하락했다. 성인 다문화수용성은 2015년(53.95점) 이후 하락 추세였으나, 2024년 반등해 조사 실시 이래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연령별로는 성인과 청소년 모두 연령이 낮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0대가 55.4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54.75점, 40대 53.54점, 50대 53.11점, 60대 이상 51.14점 순이었다. 청소년 역시 중학생이 71.00점으로 고등학생(68.52점)보다 더 높은 수용성을 보였다.성인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2021년보다 다문화수용성이 상승(20대 54.40→55.44, 30대 52.88→54.75, 40대 52.77→53.54, 50데 51.80→53.11, 60데 49.98→51.14)했고, 수용성이 가장 높은 20대(55.44점)와 가장 낮은 60대 이상(51.14점)의 격차는 2021년 4.42점에서 2024년 4.30점으로 소폭 감소했다.중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은 71.00점, 고등학생은 68.52점으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으며, 학교급별 격차는 2021년 3.50점에서 2024년 2.48점으로 감소했다.한편, 성인·청소년 모두 이주민 증가가 사 잉거 안데르센(가운데)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이 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환경부 '세계 환경의 날' 기념식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은 잉거 안데르센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이 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기후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이 대통령이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안데르센 사무총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조언'을 묻는 질문에 "기후변화는 실존하고 있다"며 "기후협약에 참여하는 192개 국가가 빨리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을 제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연설을 보니 그런 인식을 갖고 있어서 기뻤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연설에서 NDC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따라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 조속히 전환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한국 정부는 아직 2035 NDC를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안데르센 사무총장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전기차 모델'을 제시했다. 전기차를 구매할 때 각종 보조금을 지급해 실제 구매 가격을 낮춰준 것처럼, 보조금을 활용한 플라스틱 감축 정책을 설계하자는 제안이다. 그는 "한국은 전기차 구매를 강제하지 않았는데도 보조금을 활용해 전기차 비중을 높였다"며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보조금 제도나 각종 세금 감면도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도 강조했다. 특히 자본이 충분해 변화하는 환경 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스타트업도 플라스틱을 덜 사용면서 충분한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유럽의 경우 2030년까지 플라스틱 제품에 들어가는 재생원료 비중을 30%까지 늘릴 계획인데 자본력이 약한 중소 수출기업은 이에 대응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그는 한국 정부가 국제 모델로 제안한 '에이스 이니셔티브' 전략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전략은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소하고 싶어 하는 국가의 문제점을 맞춤형으로 분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