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김현재 박원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6-03 08:49본문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김현재 박원주 성가현 수습기자] 제 21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일,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시민들의 관심이 전국 곳곳의 투표소에 쏟아졌다. 아직 문을 열지 않은 투표소 앞에 긴 줄이 늘어섰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위해 수십분의 대기 시간도 아끼지 않았다.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인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4동 제3투표소가 설치된 원명초등학교에서 주민들이 길게 줄서서 투표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 뉴스1) 3일 오전 5시 30분, 이데일리가 찾은 서울 양천구 목동의 한 투표소 앞은 아직 투표가 시작되지 않은 시간임에도 사람들이 늘어섰다. 투표 시작시각인 오전 6시가 다가오자 수십명의 인파가 몰렸고, 이들이 만든 장사진은 건물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이 같은 ‘투표 오픈런’에 참가한 사람들은 자영업을 하는 노인, 어린 자녀와 함께 온 아빠, 약속 나가기 전에 빨리 투표소를 찾은 청년 등 다양했다. 하지만 새로운 세상을 위해 한 표를 행사해야겠다는 마음은 모두가 같았다. 투표를 마친 사람들은 ‘인증샷’을 찍으며 다른 사람들의 투표도 독려했다.아이와 함께 투표소를 찾은 유정훈(37)씨는 “아이가 매일 새벽 5시면 깨는데, 마침 시간이 맞아 아이를 데리고 투표를 하러 나왔다”며 “큰일이 있고 나서 치러지는 선거 아닌가. 많이들 참여해서 투표율이 높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옷 가게를 운영한다는 유정자(81)씨는 “대선 투표를 여러 번 하면서 대통령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걸 느꼈다”면서도 “그래도 이번엔 정말 그만 싸우고 화합하는 사람이 뽑혔으면 좋갰다”고 했다. 이날 생애 첫 투표를 하러 나왔다는 학생도 있었다. 고서연(18)양은 “내 첫 투표다. 내 한 표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투표에) 임했다”며 “처음으로 대선 토론도 챙겨봤고, 내 가치관에 맞는 후보가 누구인지 생각해봤다”고 했다. 동작구 사당동 앞에도 이른 아침부터 투표를 하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로 북적였다. 이모(77)씨는 “앞으로 손주들이 잘 살 수 있는 좋은 세상이 됐으면 좋뎄다”며 “우리 후대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변해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다음달 말부터 공공주택에 이어 민간 아파트에도 의무 도입되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제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민간 사업자도 냉난방이나 조명 등 건축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법규에서 정한 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 기준을 충족해야만 관할 관청의 인허가를 받을 수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이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자립률을 끌어올려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과 생산량을 더한 값을 ‘0’(제로)으로 만든 건축물이다. 그간 주택업계에선 에너지 사용량 감축을 위해 신축 아파트에 에너지 저감 기술, 친환경 설비와 자재 등을 의무적으로 적용하면 건축비 상승분이 더해져 분양가가 오를 것이라고 우려해 왔다. 가뜩이나 원자잿값과 인건비 등 원가 상승으로 공사비가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제로에너지 의무화까지 시행되는 데 따른 부담이 크다는 주장도 폈다. 그러나 제도 도입에 따른 건축비 상승분 우려는 과장돼 있으며, 아파트 준공 뒤 운영 과정에서의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는 크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 전용 84㎡ 세대당 건축비 약 130만원 ↑ 정부는 파리기후협약 비준에 따른 ‘2050년 탄소중립 선언’ 이듬해인 2021년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에 나섰다. 이후 2023년 4월 ‘탄소중립·녹색성장 제1차 국가 기본계획’이 수립되면서 공동주택에 대한 제로에너지 건축물 로드맵이 마련됐다. 이에 따라 공공주택은 2023년부터 ‘제로에너지 5등급’ 인증이 의무화됐고, 민간 공동주택은 1년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올해 6월30일 이후 인허가를 신청하는 단지부터 제로에너지 5등급 수준의 설계 기준이 적용된다. 다만, 정부는 민간의 부담을 고려해 민간 아파트에 대해선 공공주택에 견줘 완화된 제로에너지 설계 기준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현행 제로제너지 5등급의 인증 기준은 연간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 값이 ‘㎡당 90kwh 이하’인데, 민간은 그보다 완화된 ‘㎡당 100kwh 이하’를 적용한다. 국토부는 민간 아파트에 이 기준을 적용하면 현행 기준을 적용했을 때보다 전용면적 84㎡ 아파트 기준으로 세대당 약 130만원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국토부가 개별난방 방식인 최고 25층 아파트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해보니, 3.3㎡당 5만1천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