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14 20:31본문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국민의힘 6·3대선 후보 경선을 향한 관심이 14일 시작과 동시에 부쩍 사그라들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유승민 전 의원 등 중도 확장성을 갖춘 주자들이 경선에서 이탈했고, 대신 '탄핵 반대'(반탄)를 외치며 윤심(尹心)에 기댔던 주자들이 난립했기 때문이다. 경선이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게다가 주요 주자들의 지지율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율에 비해 격차가 좀체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옹립론까지 등장하면서, 여론의 관심은 국민의힘 경선 보다 경선 이후를 향하고 있다.국민의힘의 '흥행 실패'는 크게 ① 중도 주자 이탈 ② 반탄 주자 난립 ③ 불리한 여론지형 등이 이유로 꼽힌다. 먼저 오 시장과 유 전 의원 등 중도 확장성이 큰 주자들이 이탈해 관심이 크게 빠졌다. 안철수 의원, 한동훈 전 대표 등 '탄핵 찬성(찬탄)' 주자들이 남아있지만, 힘을 받지 못하는 상태이다. 김문수(왼쪽 위부터)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안철수 의원, 유승민(왼쪽 아래)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연합뉴스, 뉴스1 국민의힘은 오는 22일 1차 경선을 통해 2차 경선 진출자를 4인으로 압축하는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의 진출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남은 한 자리를 두고는 나경원 의원과 안 의원 등의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나 의원이 올라갈 경우 반탄 3명(김문수·나경원·홍준표) 대 찬탄(한동훈) 1명의 구도가 되는 셈이다.한덕수 권한대행이 침묵을 이어가고 있는 것도 변수다. 당내엔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가 한 권한대행과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해도, 민주당과 양자 대결이 성사될 가능성이 줄어든 셈이다. 자연히 경선에 대한 관심 보다 경선 이후 단일화 등에 관심이 몰릴 수밖에 없는 셈이다. 한 국민의힘 초선 의원은 "사실상 경선 흥행은 물 건너갔다"고 자평했다. 한 호주에서 한 여성이 인공수정(IVF) 클리닉의 배아 착오로 인해 다른 사람의 아기를 출산한 사건이 발생했다. *사진은 사건과 직접적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호주에서 한 여성이 인공수정(IVF) 클리닉의 배아 착오로 인해 다른 사람의 아기를 출산한 사건이 발생했다.미국 CNN, 영국 BBC 등의 보도에 따르면 브리즈번의 유명 불임클리닉인 모나시 IVF(Monash IVF)에서 체외수정(IVF) 과정 중 전혀 다른 부부의 배아가 여성의 자궁에 착상되는 바람에 이 여성은 타인의 아이를 출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모나시 IVF는 최근 성명을 통해 이 사고가 '인적 실수(human error)'로 발생했다고 공식 인정하고 사과했다.사건은 올해 2월, 아기를 출산한 부부가 남아있는 배아를 다른 불임클리닉으로 이송 요청하면서 드러났다. 부부가 보관 중이던 배아 수량을 확인한 결과, 예상과 맞지 않게 추가 배아가 남아 있었던 것이다.병원 측은 즉시 내부 조사를 진행했고, 전혀 다른 환자의 배아가 해동된 뒤 해당 여성에게 이식된 사실을 확인했다. 여성은 결국 타인의 배아로 임신해 출산에 이르렀다. 이 사실은 사고 발생 후 약 일주일 만에 친부모 측에 통보됐다.모나시 IVF의 마이클 크냅 CEO는 "이번 사고로 모든 관계자들께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드렸다"며 "심심한 사과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병원 측은 추가적인 감사를 실시했으며, 해당 사고는 '매우 드문 단독 사례'라고 해명했다. 이번 사건은 퀸즐랜드 주 생식보조기술 규제기관인 RTAC(Reproductive Technology Accreditation Committee)에도 공식 보고됐다.이번 사건에서 당사자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관련 부부 및 신생아의 이름과 구체적 출산 시점, 아동의 양육권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전문가들은 이 같은 사고가 IVF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확률은 극히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호주 왕립 여성병원 산부인과 전문의인 알렉스 폴리아코프 교수는 "이런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