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아리산과 판차실라신뢰 바탕으로 40~50명 그룹 이뤄건국 원칙 '판차실라'와도 이어져신앙·민주주의·공평·정의 등 상징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의 한 공원에 모인 사람들이 아리산(일종의 계모임)을 하고 있다. 아래 사진은 인도네시아 건국 5대 원칙을 상징하는 판차실라. 인도네시아 상징의 새 가루다를 배경으로 가운데 있는 별은 전능자에 대한 신앙, 아래의 체인은 민주주의, 오른쪽 위의 나무는 하나의 인도네시아, 왼쪽 위의 뿔 달린 소머리는 인권의 공평, 왼쪽 밑의 벼와 목화는 정의와 복지를 의미한다. 전경수 교수 제공 30년 전 인도네시아의 수라바야에 있는 한국 기업을 견학하는 길에 공장의 창고책임자인 하디씨(당시 44세)의 집을 방문했다. 자녀 셋과 함께 거주하는 방 3개로 구성된 허름한 집이다. 새로 생긴 공단의 보세구역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한 가난한 동네의 가옥이다. 7~8채의 가옥이 둥그런 큰 마당(꺼분) 하나와 공동변소가 있는 연못을 둘러쌌다. 연못도 마당의 일부다. 마당 한편으로 웅덩이 위에 대나무로 촘촘히 엮은 움막 같은 변소도 있다. 이를 '좀베란'(구정물 통이라는 뜻)이라고 부른다. 이 웅덩이에서 공동으로 메기를 키운다. 각 가정에서 나오는 구정물과 대소변은 메기의 먹이가 되고, 메기들이 충분히 성장하면 동네사람들이 돌아가면서 잡아먹는다. 베트남 메콩델타의 '캑산노이'와 똑같은 모양이다. 물이 흔한 곳에서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활성화해 폐수와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 생태학적 시스템이다. 사람 사는 동네를 구성하는 기본조건이 마당과 연못이다. 손님이 온 것을 본 이웃 노인이 건너편에 열린 두리안(본래 명칭은 두리안 브사르) 열매를 대접하기 위해 작대기를 들고 나온다. 바틱의 세밀함이 이웃 간의 관심과 관계에도 드러나는 것 같다. '삼블'(고추와 액젓을 버무린 것), '사율 앗씀'(멀린조 나무의 열매와 잎사귀를 끓이면서 옥수수를 넣어서 삶은 것), '떠리'(멸치를 고추와 함께 볶은 것), '따후'(두부 구운 것), '뗌베이'(콩을 썰어서 납작하게 만들어서 구운 것), '이깐'(생선)과 '아얌'(닭)을 구운 것, 그리고 '나시'(밥)를 방바닥 돗자리 위에 놓고 점심을 먹었다. 다섯 손가락을 부지런히 움직여 버무려서 입안으로 운반하는 동작을 반복했다. 하디의 집은 1993년에 누님의 도움으로 구입한 것인인도네시아의 아리산과 판차실라신뢰 바탕으로 40~50명 그룹 이뤄건국 원칙 '판차실라'와도 이어져신앙·민주주의·공평·정의 등 상징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의 한 공원에 모인 사람들이 아리산(일종의 계모임)을 하고 있다. 아래 사진은 인도네시아 건국 5대 원칙을 상징하는 판차실라. 인도네시아 상징의 새 가루다를 배경으로 가운데 있는 별은 전능자에 대한 신앙, 아래의 체인은 민주주의, 오른쪽 위의 나무는 하나의 인도네시아, 왼쪽 위의 뿔 달린 소머리는 인권의 공평, 왼쪽 밑의 벼와 목화는 정의와 복지를 의미한다. 전경수 교수 제공 30년 전 인도네시아의 수라바야에 있는 한국 기업을 견학하는 길에 공장의 창고책임자인 하디씨(당시 44세)의 집을 방문했다. 자녀 셋과 함께 거주하는 방 3개로 구성된 허름한 집이다. 새로 생긴 공단의 보세구역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한 가난한 동네의 가옥이다. 7~8채의 가옥이 둥그런 큰 마당(꺼분) 하나와 공동변소가 있는 연못을 둘러쌌다. 연못도 마당의 일부다. 마당 한편으로 웅덩이 위에 대나무로 촘촘히 엮은 움막 같은 변소도 있다. 이를 '좀베란'(구정물 통이라는 뜻)이라고 부른다. 이 웅덩이에서 공동으로 메기를 키운다. 각 가정에서 나오는 구정물과 대소변은 메기의 먹이가 되고, 메기들이 충분히 성장하면 동네사람들이 돌아가면서 잡아먹는다. 베트남 메콩델타의 '캑산노이'와 똑같은 모양이다. 물이 흔한 곳에서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활성화해 폐수와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 생태학적 시스템이다. 사람 사는 동네를 구성하는 기본조건이 마당과 연못이다. 손님이 온 것을 본 이웃 노인이 건너편에 열린 두리안(본래 명칭은 두리안 브사르) 열매를 대접하기 위해 작대기를 들고 나온다. 바틱의 세밀함이 이웃 간의 관심과 관계에도 드러나는 것 같다. '삼블'(고추와 액젓을 버무린 것), '사율 앗씀'(멀린조 나무의 열매와 잎사귀를 끓이면서 옥수수를 넣어서 삶은 것), '떠리'(멸치를 고추와 함께 볶은 것), '따후'(두부 구운 것), '뗌베이'(콩을 썰어서 납작하게 만들어서 구운 것), '이깐'(생선)과 '아얌'(닭)을 구운 것, 그리고 '나시'(밥)를 방바닥 돗자리 위에 놓고 점심을 먹었다. 다섯 손가락을 부지런히 움직여 버무려서 입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