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담

HUMAN DERMATOLOGY CLINIC

ONLINE
COUNSELLING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온라인으로 상담하세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대전일보DB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4-10 18:39

본문

대전일보DB 이번 조기대선에서도 충청권의 표심이 또다시 '민심 풍향계'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역대 선거에서 승패를 좌우한 핵심 승부처로 꼽히지만, 탄핵 이후 급박하게 치러지는 이번 대선에선 전략적 선택보다 심리적 쏠림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제기된다.특히 선거가 50여 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충청권이 전국 민심에 휩쓸릴지, 정국의 흐름을 선도할 수 있을지가 갈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된 1987년 13대 대선부터 지난 20대 대선까지 당선된 모든 대통령 후보는 충청권에서 승리를 거뒀다.대표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민주당 현역의원과 지자체장이 포진한 지역에서도 높은 지지를 얻었다. 당시 새누리당이 충청 기반의 선진통일당과 합당한 것이 지지세 확장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다.초접전 끝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된 2022년 20대 대선에서도 세종을 제외한 대전·충남·충북에서 모두 앞서며 당락을 가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총선에서도 충청권의 스윙보터 성향은 예외가 아니었다.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소추 역풍이 거셌던 2004년 17대 총선에선 열린우리당이 대전과 충남·북에서 다수 지역구를 석권했고, 2020년 21대 총선에서도 문재인 정부에 대한 안정성 평가가 반영돼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뒀다.반면, 1년 전 치러진 22대 총선에선 윤석열 정권 심판론으로 민주당이 충청권 전역에서 국민의힘을 압도하며 승리했다.지방선거에서도 정권 초기에 여당이 충청권을 차지하는 흐름이 반복됐다. 2018년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지방선거에선 민주당이 대전·세종·충남·충북 4개 광역단체장을 차지했다. 2022년엔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국민의힘이 충청권을 모두 차지하며 정권 교체 효과를 입증했다. 다만 세월호 참사 영향 속에 치러진 2014년 지방선거의 경우 충청권 전역에서 처음으로 진보 성향의 새정치민주연합이 완승을 거뒀다.이는 충청 지역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에 고정되지 않고, 후보의 경쟁력과 시기별 국정 평가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에서 비롯된다.인구 비중이 큰 것은 아니지만, 전체 판세가 박빙으로 흐를 경우 수도권 다음으로 충청권이 '승부를 결정짓는 한 끗'이 되는 구조다.그러나 이번 선거에서도 '캐스 2024년 8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산하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모습. 연합뉴스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가 지난해 에스엔에스(SNS) 등 온라인에서 삭제 지원한 성폭력 피해영상물 4건 가운데 1건에는 피해자 이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합성·편집 피해를 호소하는 상담 건수도 대폭 늘었다.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하 진흥원)이 10일 발간한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디성센터가 지원한 피해자는 1만305명으로 전년(8983명)보다 14.7% 늘었다. 전체 지원 사례 33만2341건 가운데 30만237건(90.3%)은 불법촬영물 및 허위영상물,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등 피해영상물 삭제 지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합성·편집으로 인한 피해는 1384건(8.2%)이었지만, 전년(423건, 2.9%)에 견줘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합성·편집 피해는 10~20대(92.6%)에 집중됐다. 한국여성진흥원 쪽은 “합성·편집 피해자 대부분(96.6%)은 여성으로, 주로 얼굴과 신체 이미지가 딥페이크(음성·이미지 합성 기술) 성범죄에 악용되고 있다”고 밝혔다.전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72.1%는 여성이었으며, 연령 파악이 가능한 피해자의 절반 이상(57%)이 10~20대 여성이었다. 피해자들은 자신이 알지 못하는 동안 피해영상물이 유포됐을 수도 있다는 ‘유포 불안’(25.9%)을 가장 많이 호소했다. 또 지난해 피해영상물 삭제 지원 사례 중 25.9%(7만7652건)는 피해자의 이름·나이·소속·주소·연락처 등 ‘개인정보 유출’ 피해가 중첩됐다. 전년(5만7082건)보다 36% 증가한 수치다. 진흥원 쪽은 “개정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성폭력방지법) 시행에 따라 17일부터 (디성센터에서) 피해자 신상정보도 삭제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 갈무리. 디성센터는 2018년 4월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설치됐으며, 피해 촬영물 삭제 지원, 상담, 수사·법률·의료지원 연계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