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 주체할 수 없다면…“식사 전 ‘이 행동’만으로 포만감↑”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gygpwbkh 작성일25-06-26 15:57본문
식사에 앞서 음식의 냄새를 맡는 행동으로 포만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11일(현지시각) 독일 쾰른대 소속 소피 스테쿨로럼 교수팀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연구 논문을 싣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진은 우리 몸이 음식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는 방식과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특히 음식의 냄새가 음식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게 이번 연구의 핵심이었다.
연구진은 태어난 지 8~16주가 지난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벌였다.
우선 음식 냄새에 노출된 환경과 그렇지 않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쥐를 두 집단으로 편성하고, 이 중 한 집단에는 코에 황산아연을 주입해 후각을 잃도록 유도했다. 이어 쥐들에게 음식 냄새를 맡도록 한 뒤 뇌의 활성 상태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식전에 음식 냄새를 맡은 쥐는 뇌의 중격에 있는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 강하게 활성화됐다.
이는 곧 음식 섭취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이 과정의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진이 실험쥐를 대상으로 후각 기관에서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으로 이어지는 신경 회로를 자극했더니, 이들 쥐의 음식 섭취량은 약 24% 감소했다. 식사에 앞서 음식 냄새를 맡는 행동으로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이유다.
한편 후각을 잃은 쥐에게서는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 특별히 반응하지 않아 음식 섭취량에도 변함이 없었다.
연구진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음식 냄새를 맡아 식사 전에 포만감을 유도하고 섭취량도 조절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런 원리가 폭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혈당 수치 증가 등의 위험 요소에 대응하는 이점을 주는 것으로 추측했다.
다만 비만한 이들은 이러한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설계 과정에서 쥐들을 일반 사료 식이군과 고지방 사료 식이군으로 나눠 따로 급식한 뒤 실험을 벌였다.
일반 사료 식이군은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 활성화돼 음식 섭취량 감소 효과가 도드라졌으나, 고지방 사료 식이군은 후각 예민도가 감소해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비만한 쥐들은 후각 자극에 따른 음식 섭취량 감소 효과를 누리지 못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인간의 음식 섭취 행동에서 감각 조절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기존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위장관으로 빠르게 음식을 보내면 식욕을 억제하기 어렵지만, 오래 씹는 등 감각 신호를 재활성화하는 것만으로 포만감을 증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이끈 스테쿨로럼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후각이 일상 속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식욕을 조절하고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후각의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하루 1개만 먹어도 효과”…우울증 위험 20% 낮춘다는 ‘이 과일’
“우리집 도마 썩었어요” 추성훈 헛구역질…진짜 위험한 이유
자는 모양을 보면 심리상태 알 수 있다…4가지 ‘수면 자세’ 뭐길래
“5월 초 황금연휴” 예약률 1위 여행지는 ‘이곳’…일본 아니었다
6가지 암 막는 ‘기적의 과일’…“매년 20만명 살릴 수 있다”
6월 수백만명 몰린다는 ‘이곳’…‘치사율 40%’ 감염병 경고 나왔다
시샘하는 추위에도 지지 않고… 찬란한 희망 피우는 꽃망울
사전경고 없는 급성 심정지, ‘이 술’이 효과 있었다
“휴대전화 ‘이 기능’ 껐더니 10년 젊어졌다”…놀라운 효과 있다는데
“김치 먹었을 뿐인데 ‘우울증’ 완화”…‘이것’ 때문이었다
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