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그룹코리아(옛 볼보건설기계코리아)는 세계적인 건설기계 제조업체 볼보건설기계그룹의 한국 법인이다. 볼보그룹코리아의 창원 공장은 굴착기 등 건설 장비를 연간 최대 1만7000여 대 생산할 수 있다. 전 세계 볼보 굴착기의 약 55%가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등 일 년 내내 바쁘게 돌아가는 창원 공장은 오전 7시부터 정규 근무가 시작된다. 출근 시간이 매우 이른 편이다. 퇴근은 오후 4시에 하지만, 잔업이 있는 날은 오후 6시로 늦어지기도 한다. 지난 7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볼보그룹코리아 창원 공장에서 회사가 생산한 건설 장비를 배경으로 직원들이 자녀들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 직원들이 든 팻말에 회사 정책인 '다양성 &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영어 단어가 적혀 있다. 볼보그룹코리아는 직장 어린이집 운영과 자유로운 육아휴직 사용, 유연근무제 도입 등 여성과 가정에 포용적인 기업 문화를 실천하고 있다. /김동환 기자 하지만 영유아 자녀를 둔 창원 공장 직원들은 자녀의 등·하원 걱정을 전혀 하지 않는다. 창원 공장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는 ‘볼보 바르미 어린이집’이 평일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문을 열기 때문이다. 또 어린이집에서 오전 8시마다 아이들의 아침 식사도 주고 있어, 직원들이 자녀의 아침 도시락을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다.창원 공장 구매 부문에서 근무하는 조영희(39)씨는 2022년 말 볼보그룹코리아로 이직했다. 재작년 3월부터 아들을 볼보 바르미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다. 조씨는 아이가 일반 어린이집에 다니던 때는 ‘죄책감’을 자주 느꼈다. 일이 밀려 늦게 하원시키는 날에는 어린이집에서 “엄마가 늦으면 아이가 힘들어한다” 등의 말을 들어야 했다. 조씨는 “회사 어린이집 선생님들은 아이를 일찍 맡기거나 조금 늦게 데리러 가도 전혀 눈치 주지 않는 등 저를 학부모인 동시에 직장 동료로 존중해주는 게 느껴진다”며 “이제는 개인 커리어와 육아 모두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2016년 3월 개원한 볼보 바르미 어린이집에는 현재 원아 25명이 다니고 있다. 모두 창원 공장 직원들의 자녀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대한민국교원조합 제21대 대선 정책제안서 전달식에서 발언을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열린 '자랑스러운 중소기업인협의회 조찬 강연'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영남 텃밭을 다진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에서 경제와 교육, 외교·안보를 아우르는 광폭 행보로 정책 민감도가 높은 수도권 유권자를 집중 공략했다. 김 후보는 또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가 정조준하고 있는 대법원을 찾아 “법치주의 보호”를 호소하며 대선의 승패를 가를 중도층 외연 확장에도 주력했다. 16일에는 ‘최대 표밭’인 경기도를 비롯해 ‘중원’ 충남과 세종, 충북, 대전을 모두 도는 강행군에 나선다. ━ 정책 광폭 행보로 수도권 표심 집중 공략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조찬 강연 축사에서 재계 숙원인 ‘중대재해처벌법’ 완화와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저지를 약속했다. 그는 “지금 제일 문제되는 부분이 중대재해처벌법을 과연 이런 소규모 중소기업에까지 적용하는 게 맞느냐는 것”이라며 “제가 결정권자가 되면 반드시 이런 악법이 여러분을 더 이상 괴롭히지 못하도록 고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되자 중소기업계에서는 안전 조치 이행을 위한 비용과 인력 부담이 큰 데다 과도한 형사처벌이 우려된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이다.김 후보는 또 이 후보가 집권 직후 재추진을 벼르고 있는 노란봉투법에 대해서도 “우선 헌법에 위배되고 민법상의 모든 규정에도 위배된다”며 “중소기업인 표는 노조 표보다 적지 않느냐는 잘못된 생각을 갖고 표만 세는 건 바로 경제를 망치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재계는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고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