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19일 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충청 출신으로서 민주당의 경제 비전을 실현하겠다며 ‘당당한 경제대통령’으로서의 첫걸음을 충청에서 시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19일 충북 청주 서원구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민주당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충청이 김동연을 선택하면 압도적 정권교체를, 경제 대전환을, 국민 통합을 선택한 것”이라며 “민주당이 변화를, 경제를, 통합을 선택했다. 충청이 새로운 희망을 만들었다”고 호소했다. 김 후보는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지도에서 사라질지도 모르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1998년 IMF, 2008년 금융위기, 2017년 탄핵 후 경제 위기, 저 김동연은 매번 위기의 한복판에서 해법을 찾았다. 경제 성장의 V자 그래프를 그려냈다”고 자신했다. 특히 경제부총리 시절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을 언급하며 “한미 FTA와 환율 협상에 당당히 임했고 성공했다. 다시 등장한 트럼프와 맞서 국익을 지켜낼 사람, 바로 저 김동연”이라며 “귀국편 비행기를 끊지 않았고 두 번 질 수는 없다는 생각으로 한국 경제 현장을 지켰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대통령이 되는 즉시 기득권부터 깨겠다고도 선언했다. 그는 “대통령실, 기재부, 검찰 대한민국 3대 권력기관을 해체수준으로 개편하고, 공직사회와 법조계의 전관 카르텔을 혁파하겠다”고 말했다. 또 대기업은 일자리, 노동자는 유연화, 정부는 규제개혁 등 3자가 서로 주고받는 ‘3각 빅딜’로 ‘불평등 경제’를 극복하고 ‘기회의 경제’로 나아가겠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10대 대기업 도시, 10개 서울대, 기후산업 400조원 투자, 간병국가책임제 등을 모두 완수하겠다고 공약했다. 김 후보는 충청지역에 대한 비전도 강하게 드러냈다. 그는 “충북, 충남, 대전에 대기업 도시 3개를 건설하겠다”며 “대기업 일자리와 연계해 ‘서울대’ 3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국회, 대법원, 대검찰청 등 핵심 기관의 충청 이전도 공약했다. 김 후보는 “저를 낳고 길러준 이곳 충청에서 ‘제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두의 '조별 과제'가 된 이 문제는, 때로 막막하고 자주 어렵다. 우리는 각자 무얼 할 수 있을까. 문화 속 기후·환경 이야기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끌고, 나아갈 바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저탄소 식단 음식 중 비건 참치 샐러드 유부 초밥 ⓒ 뉴스1 황덕현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속이 알차게 찬 만두에, 바삭한 프랑스식 파이 '키쉬', 쫄깃한 치아바타 샌드위치까지, 든든한 저녁 한 끼를 맛있게 비웠다. 저녁 자리는 상큼한 오렌지 주스와 컵케이크로 마무리했다. 입은 즐겁고, 지구는 가벼워졌다. 이토록 풍성한 한 끼 식사가 곧 탄소를 줄이는 '착한 실천'이 됐다.기후·환경 연구단체 '기후솔루션'이 '지구식탁'을 소개했다. 차려진 음식은 모두 '저탄소 식단'을 토대로 마련됐다. 생산부터 포장, 운송, 소비 후 처리까지 전 과정(LCA)에서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한 식품으로 구성됐다.식사는 케일 쌈밥과 감자샐러드, 유부초밥, 채소 키쉬, 만두 등이 나왔다. 채식과 식물성 대체육만으로 만든 저녁 식사다. 디저트로는 컵케이크와 초콜릿 브라우니, 오렌지 주스가 나왔다.기후솔루션은 두 가지 식단의 온실가스 배출량 차이를 비교해 제시했다. 소고기뭇국과 쇠고기 장조림이 포함된 식사는 한 끼당 약 3.94㎏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만, 된장국과 시금치나물, 비빔국수 등 식물성 위주 식단은 약 2.29㎏ 수준이다. 한 끼 식단만 바꿔도 1.65㎏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식탁에 앉아 있지만 숲을 가꾸는 셈이다.이를 하루 한 끼씩 한 달간 실천하면 약 49.5㎏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약 6000대를 충전하는 데 들어가는 전력 사용량에 해당한다. 같은 방식으로 150명이 참여할 경우, 도시림 1곳이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에 맞먹는 규모의 감축이 가능하다.저탄소 식단은 단순히 육류 섭취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생산과정에서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가공·유통·포장 단계에서 자원 소비를 최소화하며,
김동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