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인덱스는 연구기관이나 국가의 연구 역량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홍박사 작성일25-07-18 02:23본문
<a href="https://pilatesguide.co.kr/shop/index.php?no=151" target="_blank" rel="noopener" title="상동필라테스" class="seo-link good-link">상동필라테스</a> 가늠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일 뿐이라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학술논문을 많이 발표하는 연구기관이 반드시 학술적으로도 더 우수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전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지난해 8월 우리 언론에 떠들썩하게 소개됐던 네이처 인덱스 특집호의 주장도 지나치게 성급한 것일 수 있다. 당시 네이처 인덱스가 사용한 연구개발 투자의 '효과'는 오로지 145개 학술지에 실린 우리 연구자들의 논문 편수뿐이었다. 당시 대통령의 '떼도독'(카르텔) 발언에 이은 연구개발 예산의 졸속 삭감으로 심각한 혼란에 빠져있던 우리 과학계의 현실을 네이처가 자신들의 상업적 목적에 활용한 것은 몹시 안타까운 일이었다. 정부에 어설픈 '연구개발 시스템·투자의 혁신'을 정당화하는 빌미를 제공해주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학술지나 연구자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학술지 영향력 지수(IF·Impact Factor)'도 마찬가지다. 영향력 지수는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이 얼마나 널리 인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개발된 서지 통계 자료다. 영향력 지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한 1975년에 학술지의 홍보를 위한 상업적 목적으로 처음 개발된 것이다. 그런 영향력 지수가 언젠가부터 논문의 학술적 수준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잘못 활용되기 시작했다. 영향력 지수가 높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라고 반드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도 아니고, 영향력 지수가 낮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라고 반드시 가치가 없는 논문이 되는 것이 아니다..
학술지나 연구자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학술지 영향력 지수(IF·Impact Factor)'도 마찬가지다. 영향력 지수는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이 얼마나 널리 인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개발된 서지 통계 자료다. 영향력 지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한 1975년에 학술지의 홍보를 위한 상업적 목적으로 처음 개발된 것이다. 그런 영향력 지수가 언젠가부터 논문의 학술적 수준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잘못 활용되기 시작했다. 영향력 지수가 높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라고 반드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도 아니고, 영향력 지수가 낮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라고 반드시 가치가 없는 논문이 되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