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겸재 정선’전이 열리고 있는 호암미술관 1층 전시장 들머리 공간. 겸재의 양대 걸작으로 꼽히는 ‘인왕제색도’(왼쪽)와 ‘금강전도’가 전시의 얼굴로 나란히 내걸렸다. 노형석 기자 한국 회화사의 거장은 소년 가장이었다.14살에 서울 서촌에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와 동생들을 돌봐야 했다. 찌든 가난에도 그의 예술혼은 짓눌리지 않았다. 아름다운 모국 산천과 선조들 삶이 어우러진 풍경의 진수를 그리겠다는 필생의 꿈과 의지를 간직했다. 50대에 이르러 18세기 조선 미술판을 평정하고 21세기 현대 미술가들에게까지 영감을 주는 거장이 되었다.겸재 정선(1676~1759)은 입지전적인 성장사에 더해 놀라운 ‘멀티 예술가’의 삶을 살았다. 그는 자연 풍경의 핵심을 절묘하게 축약하고 짚어서 그리는 진경산수화 형식을 창안한 주역이었다. 금강산과 서울 서촌, 한강으로 대표되는 이 땅의 산하, 인간의 풍경을 자유자재로 편집하듯 펼쳐내면서 추상과 구상을 오가는 필치로 표현해냈다. 단순한 전업 화가에 머물지도 않았다. 주역과 천문학에 통달해 관련 관청인 관상감의 교수를 지내며 주역의 음양설을 그림에 녹여냈다. 서울 양천 등 각 지역 현감을 맡아 행정가로 일하면서도 화풍 닦는 수련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만년 거처인 서울 서촌 장동 인곡정사에서 성리학을 연구하고 시 짓는 문인의 삶도 이어나갔다. 증조부대 이후로 벼슬길 끊어지며 가문이 몰락했지만, 퇴계 이황의 옛 학맥을 찾는 관련 시화집을 내며 가문 중흥을 위해 애썼다. 서촌에서 별세하고 수년이 지난 뒤 겸재를 총애했던 임금 영조는 서울시장격인 한성판윤의 직위를 내려주었다. 1층 전시실 중간 영역. 자신의 거처가 있던 서울 서촌 장동 일대와 한강 변의 풍경을 주로 담은 그림들이 나와 있다. 노형석 기자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의 삼성문화재단 설립 60주년 기념전 ‘겸재 정선’ 현장에선 초인 같은 예인 겸재의 면모를 오롯이 작품 실물들만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건희 컬렉션의 대표작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인왕제색도’와 리움미술관 소장 ‘금강전도’, 간송미술관 소장 ‘금강산 화첩’ 등 겸재 최고 명품들이 역대 최대 규모로 한자리에 펼쳐졌다.겸재의 대명사인 진경산수화 명작들을 비롯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경기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는 취임 초반 고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림세를 지속했고, 작년 12월 불법 비상계엄 사태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달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경기동행지수는 이후 2월 0.1포인트 반등하긴 했지만 2024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석 달 연속 하락세가 이어진 데다 반등 폭도 작아 상승세로 전환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현재의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경기지수로, 광공업·서비스생산, 소매판매·내수출하지수 등 7개 지표로 구성된다.동행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5월 96.3으로 바닥을 찍은 뒤 재정보강, 엔데믹 경기 회복 등의 영향으로 2022년 9월 101.6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반도체 불황이 이어지면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광공업 생산지수는 윤 정부 취임 직전인 2022년 4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했고, 이런 추세는 이듬해 2월까지 11개월 연속 이어졌다.경기 하락세는 작년 12월 불법 비상계엄 전후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작년 10월 99를 웃돌았던 동행지수는 석 달 연속 총 0.9포인트 급락했다.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겸재 정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