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지·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폐물 처리 안전 확보
관련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15 23:29본문
폐수지·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폐물 처리 안전 확보
폐수지·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폐물 처리 안전 확보폐기물 감용·자원 회수·관리 비용 절감 등 성과한국원자력연구원 관계자들이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하고 있는 모습. 원자력연 제공방사성폐기물은 원자로의 연료로 쓰고 난 뒤 꺼낸 사용후핵연료(고준위)와 연구 과정에서 사용한 장갑·작업복(중·저준위) 등을 지칭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개발과 시설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방사성폐기물을 관련 법규에 따라 철저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 특히 폐수지, 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사선폐기물 특성에 맞춘 처리 기술 개발에 앞장서는 한편, 폐기물 감용, 자원 회수, 경제성 향상 등의 성과도 창출하고 있다. ◇ 난분해성 제염 폐액 3시간 내 98% 이상 처리 제염 폐액은 원자력 시설의 제염 과정 중 발생하는 폐액으로, 방사성 핵종을 흡착하기 위해 사용한 난분해성 유기착화제가 포함돼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이 난분해성 제염 폐액을 처리할 기술이 없어 폐액을 가열해 증발 농축 처리하거나 필터, 분리막,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원자력연은 방사성 핵종 산화물을 나노촉매로 이용해 난분해성 제염 폐액을 3시간 내 98% 이상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제염 폐액에 포함된 방사성 구리, 니켈 등의 방사성 핵종을 촉매로 재사용한다. 기존 고가 금속산화물 촉매 대신 제염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활용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이 기술은 기존 대비 폐기물 발생량을 65% 이상 줄이고, 별도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지 않아 2차 폐기물도 최소화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핵종 나노촉매 이용 폐액처리 장치 시제품. 원자력연 제공◇ 세계 최초 원전 폐수지 처리기술 상용규모 공정 실증 성공 월성원전과 같은 중수로(CANDU)에서는 중준위 방사성폐기물로 폐수지가 발생한다. 폐수지는 중수 등의 액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때 사용한 이온교환수지를 말한다. 방사성동위원소인 탄소-14(14C)를 포함하고 있는데, 방사능의 농도가 높고 양이 많아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 처분하는 것이 불가능해 발전소 내 저장탱크에 따로 장기간 보관해왔다. 원자력연은 세폐수지·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폐물 처리 안전 확보폐기물 감용·자원 회수·관리 비용 절감 등 성과한국원자력연구원 관계자들이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하고 있는 모습. 원자력연 제공방사성폐기물은 원자로의 연료로 쓰고 난 뒤 꺼낸 사용후핵연료(고준위)와 연구 과정에서 사용한 장갑·작업복(중·저준위) 등을 지칭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개발과 시설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방사성폐기물을 관련 법규에 따라 철저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 특히 폐수지, 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사선폐기물 특성에 맞춘 처리 기술 개발에 앞장서는 한편, 폐기물 감용, 자원 회수, 경제성 향상 등의 성과도 창출하고 있다. ◇ 난분해성 제염 폐액 3시간 내 98% 이상 처리 제염 폐액은 원자력 시설의 제염 과정 중 발생하는 폐액으로, 방사성 핵종을 흡착하기 위해 사용한 난분해성 유기착화제가 포함돼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이 난분해성 제염 폐액을 처리할 기술이 없어 폐액을 가열해 증발 농축 처리하거나 필터, 분리막,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원자력연은 방사성 핵종 산화물을 나노촉매로 이용해 난분해성 제염 폐액을 3시간 내 98% 이상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제염 폐액에 포함된 방사성 구리, 니켈 등의 방사성 핵종을 촉매로 재사용한다. 기존 고가 금속산화물 촉매 대신 제염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활용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이 기술은 기존 대비 폐기물 발생량을 65% 이상 줄이고, 별도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지 않아 2차 폐기물도 최소화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핵종 나노촉매 이용 폐액처리 장치 시제품. 원자력연 제공◇ 세계 최초 원전 폐수지 처리기술 상용규모 공정 실증 성공 월성원전과 같은 중수로(CANDU)에서는 중준위 방사성폐기물로 폐수지가 발생한다. 폐수지는 중수 등의 액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때 사용한 이온교환수지를 말한다. 방사성동위원소인 탄소-14(14C)를 포함하고 있는데, 방사능의 농도가 높고 양이 많아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 처분하는 것이 불가능해 발
폐수지·제염 폐액 등 다양한 방폐물 처리 안전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