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고
[앵커]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고수온으로 남해안 양식장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양식업계 최악의 해로 해로 기록된 지난해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어민들은 밤잠마저 설치고 있습니다.경남 거제의 양식장 현장을 안형기 기자가 직접 돌아봤습니다.[리포트]다음달 출하를 앞둔 경남 거제의 한 육상양식장입니다.600평 규모의 양식장 수조에 넙치 15만 마리가 자라고 있습니다.실내다보니 해상보다는 영향이 적지만 벌써부터 뜨거워진 수온이 걱정입니다지난해 고수온으로 키우던 넙치의 95%가 폐사한만큼 안심할 수가 없습니다.{최재봉/양식 어민/"(넙치가) 비교적 저수온에도 강하고 고수온에도 강하지만, 30도 이상 올라갔을 때... 고수온이 유지가 되버리면, 유지만 안하고 떨어져주면 문제가 없어요. 올해는 작년처럼 안되기를 기도를 합니다.}내리쬐는 햇볕마저 못 피하는 해상 양식장은 더 걱정이 클수밖에 없습니다. "이곳 가두리 양식장에는 조피볼락 20만 마리가 자라고 있습니다. 고수온에 특히 약한 어종인데, 경남 앞바다에서 양식되는 어류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렇게 고수온에 취약한 한류성 어종입니다."이 양식장 역시 지난해 키우던 조피볼락 20만 마리가 모두 폐사했습니다. 수온이 28℃가 넘으면 폐사하기 시작하는데, 올해도 이대로면 폐사위험온도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입니다.{황덕성/양식 어민/"(걱정이) 저 뿐만 아니라 모든 어민이 다 마찬가지입니다. 자연에 맡기는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대체할 수 있는 어종이 있으면 다른 걸로 할텐데, 마땅히 없다보니까..."}올 7월부터 9월까지 여름기간, 남해안 연안 평균 표층수온이 평년보다 1도 더 높을거라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지난 3일 통영시 욕지면부터 하동군 앞바다까지 고수온 예비특보가 내려졌는데, 지난해보다 8일이나 빠릅니다수협에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엄준/거제수협 조합장/"고수온 예찰이라던지 이런 부분들을 강화를 해서 피해가 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어업인들 지원을..."}지자체 역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변광용/거제시장/"사전에 우리 시가 할 수 있는 지원 그리고 대비 그리고 또 어민들과 함께할 수 어떤 부분이 있는지 잘 찾아서 적극적으로 대응을..."}매년 뜨거워지는 바다에 마땅한 대책마저 없는 상황에 집단 폐사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어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KNN 안형기입니다.영상취재:정창욱안형기 (ahk@kn 정동영 통일부·전재수 해양수산부·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왼쪽부터)가 14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했다. 정 후보자는 통일부 명칭 변경 문제, 전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 문제, 배 후보자는 AI 기본법 규제 문제 등에 대해 집중 질의를 받았다. 임현동·전민규 기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통일부 부처 명칭 변경과 관련해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며 “한반도부가 대안 중 하나”라고 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평화통일부’를 제안하는 여당 의원의 질의에 “좋은 대안”이라고 답했다. 북한과의 대화를 견인하기 위해 한·미 연합훈련을 연기하는 방안에 대해선 “앞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2023년 말 선언한 남북 ‘적대적 두 국가론’에 대해서는 “강대강의 산물”이라며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한 북의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우리의 주적이라는 명제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며 “(북한은 주적이 아닌) 위협”이라면서다. 정 후보자는 국회 추천이 이뤄지지 않아 북한인권재단이 출범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인도적 지원 병행 없이 공세적으로 북한 인권을 강조하는 건 문제가 있다”며 “만일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남조선 인권법’을 제정하고 남한 인권 문제에 개입하면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고 이를 내부 문제 간섭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다만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 제기를 내정 간섭으로 보는 건 국제 인권 규범에 어긋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태양광 사업 이해충돌 논란과 관련해 정 후보자는 “제 아내가 소유한 태양광 발전시설은 중고 태양광 발전시설로 생존형, 생계형 호구지책으로 생활비 마련을 위해 매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자신이 공동발의한 ‘영농형 태양광 지원법’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면서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앵커]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