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광적면에 위치한 '양주테크노시티(YTC)' 전경. 한국전력이 오는 17일 전기공급 중단을 예고하면서, 입주해 있는 7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영업 중단 위기에 놓였다. "도대체 왜 우리가 피해를 봐야 합니까? 우리는 매달 관리비를 꼬박꼬박 냈어요."14일 오전, 양주시 광적면에 있는 양주테크노시티(YTC). 입주 기업 대표들의 얼굴에는 분노와 불안이 엇갈려 있었다. "요금을 다 냈는데 왜 우리가 피해를 봐야 하느냐"며 울분을 터뜨리는가 하면, 일부 입주자는 "이제 어떻게… 완전히 망했어"라고 절망감을 토로했다.입주사들을 긴장시키는 이유는 단전 예고 때문이다. 한국전력은 오는 17일 오전 10시부터 건물 전체에 대한 전기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공식 통보를 관리단에 전달했다.공용 전기가 끊기면 엘리베이터는 물론 냉난방, 조명, 인터넷까지 모두 정지된다. 입주사 입장에선 사실상 '영업 중단' 선고나 다름없다.양주테크노시티에는 은행과 식당, 소규모 제조업체 등 70여 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양주시가 운영하는 드론봇인재교육센터도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한전은 그동안 입주기업의 피해를 우려해 여러 차례 공급 중단을 유예해왔지만, 전기요금 체납이 7개월째 이어지자 "더 이상의 유예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누적된 전기요금은 일반·산업용을 합쳐 약 2억4000만 원에 이른다. 그동안 관리단장이 일부를 대납하며 운영을 유지해왔지만, 이마저도 한계에 도달한 상황이다. ▲한국전력이 양주테크노시티 입주사에 전기요금 2억여 원이 7개월간 체납됐다며 오는 17일 오전 10시부터 공용전기 공급을 중단하겠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게시했다. 사태의 근본 원인에는 경기도와 운영사의 체납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경기도는 2016년 이 건물 4층 전체를 임대해 사용하다 철수했으며, 이후 약 4억5000만 원의 관리비를 수년째 납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여기에 운영사인 양주테크노시티가 1억 원, 민간 위탁사인 양주씨티가 약 2억 원을 체납하면서 전체 미납액은 약 7억5000만 원에 달한다.입주사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한 입주 기업 대표는 "우리는 세입자일 뿐인데, 위층 주인이 돈을 안 냈다고 우리까지 전기를 끊는 건 말이 안 된다"며 "경기도가 책임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24일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으로 들어서며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민의힘이 16일 치러지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의 북한관 검증을 예고했다. 청문회에서는 여야가 고용노동정책을 담당할 고용부 장관에게 북한관 검증이 맞는지를 두고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14일 국회에 따르면 김 후보자의 청문회 서면질의답변서에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북한과 관련된 질문이 집중됐다. 김형동 의원의 경우 28가지 질문 중 6가지 질문이, 김위상 의원은 90가지 질문 중 약 20개(통일 포함)다. 북한관과 연관된 미국관 질문을 포함하면 질문 수는 더 늘어난다.이 질문들은 김 후보자가 2011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전후 북한과 관계성을 입증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김형동 의원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4번의 북한 방문과 2번의 방문 신청 이유를 물었다. 당시 김 후보자의 북한 방문 일정을 보면 통일대회, 남북운수노동자대표자회의, 새해맞니 남북노동자 상봉, 6.15 민족통일대축전 등이다. 모두 정부 사전 승인을 통한 합법적 방문이었다. 김 후보자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함께 가거나 남측 대표단 일원으로 북한을 다녀왔다.김위상 의원은 김 후보자의 북한관을 직접적으로 물었다. ‘북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 대한 평가해달라’ ‘김정은 위원장이 김정은 아들이 아니라 가장 훌륭한 지도자여서 후계자가 됐나’ ‘북한 노동자의 노동권 부재에 대한 견해는’ 등이다. 질문 중에는 여당으로부터 과도하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질문도 있다. 예를 들어 김 후보자에게 6.25 전쟁 발발에 우리나라의 책임도 있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김 후보자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김 후보자는 김정은에 대한 평가 질문에 “실질적 당사자인 북한 주민의 입장에서 평가돼야 한다”며 “북한의 핵개발, 군비 경쟁은 북한 주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