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잇따른 바가지 논란에 내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제주도. 지난달 8개월 만에 관광객이 증가세로 전환했지만아직 내국인 방문객 회복은더딘 편이다. 올여름 본격휴가철을 앞두고 제주 관광이 다시 활기를 띨 수 있을지업계관심이 쏠린다. 제주도 산지·북부 중산간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18일 오후 제주시 봉개동 절물자연휴양림에 많은 비가 내려 탐방객이 급히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 "작년보다 (내국인) 관광객이 너무 많이 줄어들었어요. 이러다 성수기에도 파리 날릴까봐 걱정입니다." 이달 초 제주 서귀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50대 이모 씨는 "관광객 감소 얘기가 계속 나오는데 이 정도로 심할 줄은 몰랐다. 체감상 '반토막'"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 수는 정말 줄었을까. 19일 제주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전년(744만4524명) 대비 6.1% 줄어든 698만7763명에 그쳤다. 700만명 돌파를 코앞에 뒀지만 작년과 비교하면 시점이 2주가량 늦어졌다.전체 입도객 가운데 비중이 높은 내국인 감소 여파다. 내국인은 9.3% 줄어든 582만2304명, 외국인은 14.2% 늘어난 115만5459명으로 집계됐다.외국인 관광객은 크루즈선 입항 확대로 꾸준히증가세를보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크루즈 입국 통계를 보면 올해 1~5월 제주로 입항한 외국인은 7만979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3% 늘었다.지난주 강정항 크루즈터미널에는 스타크루즈, MSC 크루즈의 대형 크루즈 선박이 정박해 관광객들이 인근 지역 관광에 나섰다. 강정항에서 가까운 켄싱턴리조트 서귀포 관계자는 "크루즈가 정박하면 리조트 내 식음업장을 방문해 식사하는 외국인 관광객도 늘어난다"고 말했다. 다만 체류 시간이 8시간가량으로 제주에서 소비를 유도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뒤따랐다.내국인 관광객 감소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바가지 물가 논란 여파로 풀이된다. '비계 삼겹살'부터 '평상 비용 갑질'까지 이슈화되면서 여행 신뢰도가 떨어진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부정적 여론 확산이 제주 관광산업에 미친 영향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컸다"며 "경험하지 않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호우특보가 발효된 18일 오후 제주시 연삼로에 강한 빗줄기가 쏟아지고 있다. 2025.07.18. woo1223@newsis.com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전국적으로 집중호우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금한승 환경부 차관이 "이미 피해가 일어난 지역에 다시 집중호우가 내리면 피해 규모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하천 수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위험정보를 빠르게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18일 환경부에 따르면 금한승 차관은 이날 오후 6시께 서울 서초구 소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홍수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긴급상황점검회의를 주재했다. 기상청,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 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참석해 연이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계획을 논의했다. 또 이날 밤 예상되는 집중호우 대응계획 등도 점검했다. 이미 많은 비가 온 상황인데, 이날 저녁부터 전남과 경남 중심으로 최대 300㎜ 등 또다시 집중호우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지난 16일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총 778건의 홍수정보를 제공한 바 있다. 또 이날 오후 3시 30분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단계가 발령되며 위기경보수준을 '심각'으로 격상했다. 각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과 함께 호우대응을 위한 비상근무 태세를 유지 중이다. 금 차관은 "이미 피해가 일어난 지역에 다시 집중호우가 내리면 피해 규모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하천 수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위험 정보를 빠르게 알리는 등 각 기관들이 이번 집중호우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